부가가치세 계산기
그래서 오늘 포스팅은 부가가치세 계산기 대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특히 반드시 알아야 할 공급대가에 포함된 계산법 및 부가세 신고시 납부할 계산법 두가지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후 부가가치세 계산기 활용하는 방법을 끝으로 마무리 해보겠습니다.

1. 부가가치세 계산기 – 공급대가 포함
가장 먼저 부가가치세 계산기 활용을 위한 공급대가 포함한된 계산법 알아 보겠습니다. 공급가액이란 부가세가포함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반대로 공급대가는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이죠. 그러므로 공급가액을 알고 있다면 단순히 10%를 붙이면 되므로 굉장히 간편합니다.

가령 10,000원이 공급가액이라면 10%인 1,000원이 부가세가 되는 것이죠. 그러나 만일 공급가액을 모르고 부가가치세 포함이된 공급대가만 알고 있다면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감이 잡히질 않습니다.
여러분이 다이소에서 5,000원을 주고 공책을 구매 했는데 부가가치세가 얼마나 붙어있는지 계산이 되시나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공급대가를 11로 나누면 부가가치세를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공책 가격이 5,000원이라고 했으니 여기서 부가가치세는 455(5,000/11)원 입니다. 그렇다면 공급가액은 4545(5,000-455)원이 되는 것이죠. 물론 가끔 원 단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반올림을 해주면 됩니다.
2. 부가가치세 계산기 – 납부금

과세기간이라고 하면 세금계산에서 베이스가 되는 기간으로 해당 기간동안 발생한 총 매출 및 매입 내역이며 이를 정리하면 얼마나 납부해야 하는지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액공제 내역과 함께 가산세 등을 계산하면 실제 납부 내지는 환급 부가가치세를 자세하게 알 수 있죠. 보통 연말에서 1월까지 부가가치세 신고 때문에 골머리인 대표님들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가가치세 계산기를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3. 부가가치세 계산기 – 세금계산기

물론 실제 납부/환급 내용과 다를 수 있지만 부가세 예상납부세액을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습니다. 본 세금신고 전에 간편히 알 수 있으니 부가가치세 계산기 꼭 활용 하시길 바랍니다.
오늘 부가가치세 계산기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사업자 상황에 의해 어떻게 계산을 미리 하느냐는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꼭 활용하시고 사업 번창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